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신라의 특징

신라의 특징

 

서론

신라는 삼국을 통일한 국가이다. 물론 당나라의 도움과 다른 환경적인 요인이 존재하겠지만, 결론적으로 삼국을 통합하고 당나라와의 전쟁 속에서도 살아남았다. 이 글에서는 삼국을 통일했던 신라의 정치, 경제적 특징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한다.

 

 

본문

신라의 경제적 특징

신라는 성장 단계에서 정복한 지역에 토산물을 수취했다. 지배가 된 지역의 토지와 노비는 왕토 사상에 따라서 왕의 것이 되었다. 전쟁의 포로는 관직과 귀족의 지위를 동시에 겸한 사람이나 병사의 노비가 되거나, 전쟁에서 공을 세운 자에게 제공되었다. 고위 관료는 녹읍을 지급받았다. 녹읍은 세금을 거둘 권리라고 이해하면 쉽다. 그렇기에 고위 관료는 토지로부터 조세를 일정량 받을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주민을 노동에 동원시킬 수 있는 권리가 포함되었다.

 

고대국가로서의 성장 단계에서 벗어나 중앙 집권 체제를 정비한 이후 조세제도를 마련하기 시작했다. 가족을 칭하는 호 (戶)를 재산에 따라 상, 중, 하로 나누어 곡물, 포, 특산물을 거두었다. 조세 제도 외에도 농업 정책을 시행하였다. 철제 농기구를 일반 농민에게 제공하였고, 소를 이용해하는 농사인 우경을 장려하였으며, 황무지 개간을 통해 경작지를 넓히고, 저수지를 만들거나 수리하였다. 왕궁 또는 성을 짓기 위해서는 노동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동령을 충당하기 위해서 15세 이상의 남자를 동원했다. 또한 노비에서 기술이 뛰어나다면, 무기나 장신구를 생산하게 시켰다. 이후 국가 체제가 정비되면서 칼과 같은 무기나 비단 같은 수공업 제품을 제작하는 관청을 두었다. 그 관청에는 수공업자를 배정하여 필요한 것들을 제작해 나갔다.

 

신라의 사회 제도

신라는 삼국의 다른 나라인 고구려와 백제에 비해서 중앙집권화가 늦었다. 신라는 하나의 왕이 통치를 하는 체제로 가기 전 여러 부족의 대표가 모이는 화백회의를 통한 정치가 이루어졌다. 또한 신라에서는 골품 제도라는 신분제를 이용하였다. 골품제도는 혈연에 따른 것으로 개인의 사회활동 및 정치활동에 제약이 있었다. 관직 승진의 상한선이 골품의 영향을 받았으며, 가옥의 규모와 장식품 그리고 복색등 일상생활의 곳곳에서 규제하는 틀이 되었다.  최고 신분층인 진골 귀족은 정치와 사회 분야에서 막강한 힘을 가졌고, 중앙 관청직을 그들이 독점하는 구조였다. 6두품 출신의 경우 학문적 지식과 실무적은 능력으로 왕을 보조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정치분야에 진출하고자 꾀했지만, 신분적인 제약으로 인해 중앙 관청직 자리에 오르기엔 무리였다. 귀족은 금일택이라고 부루는 저택에서 노비와 사병을 거느렸다. 또한 불교에 후원하며 후원할 돈은 지방 소유의 영지와 목장의 수입으로 채웠다. 귀족은 국제 무역을 통해서 들어온 사치품을 자주 애용하였다.

 

신라에서는 화랑도라고 하는 청소년 집단이 존재하였다. 청소년은 화랑에서의 활동을 통해 사회 규범을 익히고 여러 계층이 존재하는 가운데 조직의 일체감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화랑은 계층 간의 대립과 갈등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화랑도에서 하는 활동은 다양했다. 명산대천을 찾아서 제천의식을 행하기도 하였고, 사냥과 전쟁의 교육을 통해서 단련하였다. 또한 조직 생활 속에서 협동과 단결을 배우면서 수련하였다. 이러한 화랑 조직은 정복활동을 지속해 오던 진흥왕 시기에 확장되었다.

 

신라의 농민 생활

평민은 대부분 농사에 종사하는 농민이었다. 농사에 종사하지 않는 사람은 상업 또는 수공업에 종사하였다. 농민은 연령을 기준으로 골품제와 마찬가지로 6등급으로 구분되었다. 20세에서 59세 사이의 남녀를 부르는 정과 정녀를 기준으로, 이 나이 이하의 사람을 (조자, 조여자), (추자, 추여자), (소자, 소여자)로 불렀고 60세 이상은 (제공, 제모), (노공, 노모)로 불리었다. 이 분류를 기준으로 노동력 징발의 대상이 되었다.

 

농사를 주로 삼던 옛날에는 토지의 크기를 재는 일이 몹시 중요했다. 신라에서는 결부법에 따라서 면적이 조사되었다. 또한 이렇게 조사된 것을 바탕으로 조세를 얼마큼 부과할지가 정해지었다. 결부법은 면적이 절대적으로 얼마만큼 큰지에 따라서 조세를 부과하는 방식이 아니었다. 오히려 수확량이 얼마큼인지가 기준이 되었다. 계산 단위는 결, 부, 속, 파 4가지였다. 파는 한 움큼을, 속은 한 묶음을, 부는 한  짐의 줄기를 의미하며, 각각 10배 차이가 났다. 예외적으로 100부가 1 결이었다. 결부법은 토지의 비옥도를 고려한 좋은 방식으로 평가된다. 같은 크기의 땅에서 비옥한 땅은 비옥하지 않은 땅보다 더 많은 수익이 나기에 토지의 면적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비옥하지 않은 땅을 가진 이가 불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부법을 이용하게 되면 비옥도를 고려할 수 있었으며, 면적을 쉽게 산출할 수 있으며, 합리성을 지녔다고 평가된다.